- 지난 번 스프링을 처음 배울 당시 아래와 같이 Validation에 대한 개념을 배웠었다.
✅ Validation은 유효성 검증을 말하며, 주로 HTTP Request에서 잘못된 내용을 검증할 때 사용한다. - 데이터 검증 : 필수 데이터 / 문자열 길이 및 숫자형 데이터 범위 / 이메일 및 신용카드 번호 등 형식 확인 - 비즈니스 검증 : 서비스 정책에 따라 데이터 검증 ✅ Validation 방식 1) Java Bean Validation : dto클래스 맴버에 Annotaion(ex. @NotBlank, @Size, @Email...)을 붙이는 방식 2) Spring validator 인터페이스 구현을 통한 validation ✅ Validation 주의사항 : Validation을 멀리 두면 테스트 및 유지보수성이 떨어지므로 가능한 Annotaion방식을 쓰는 게 좋다. * 수업에서의 제안 : 1차로 dto에 Annotation방식 사용, 2차로 비즈니스 검증 후 실패 시 Custom Exception throw
- 오늘은 계좌 프로그램의 계좌 생성 기능에 대한 단위 테스트를 하면서 위 데이터를 검증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검정하는 실습해보았다.
- 이것을 연습 삼아서 동물 병원 차트를 생성하는 걸로 바꿔서 해보았다.
1. 데이터 검증하기 - Common Validation Annotations(Java Bean Validation)
@NotNull: to say that a field must not be null.
@NotEmpty: to say that a list field must not empty.
@NotBlank: to say that a string field must not be the empty string (i.e. it must have at least one character).
@Min and @Max: to say that a numerical field is only valid when it’s value is above or below a certain value.
@Pattern: to say that a string field is only valid when it matches a certain regular expression.
@Email: to say that a string field must be a valid email address.
[ 예시 ] 동물 병원 차트 생성 DTO - Request와 Response 시 Data-binding용 - 요청시 : 주인 id와 동물 id는 반드시 받아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 차트에 메모와 진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 응답시 : 생성된 차트의 차트번호 반환
// import 생략
public class CreateChart{
// lombok 게터/세터/생성자 생략
public static class Request{
@NotNull
@Min(1)
private Long ownerId;
@NotNull
@Min(1)
private Long patientId;
private String memo;
private String diagonose;
}
// lombok 게터/세터/생성자 생략
public static class Response{
@NotNull
private String chartNo;
}
public static Response from(ChartDto chartDto){
return Response.builder()
.ownerId(chartDto.getOwnerId())
.patientId(chartDto.getPatientId())
.memo(chartDto.getMemo())
.diagonose(chartDto.getDiagnose())
.build();
}
}
[2] DTO : 도메인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넘겨주는 객체 생성
* 지연 로딩을 위해서 필요한 객체이다. (지연 로딩이란? JPA에서 프록시 객체 - 참조값을 가진다 - 로 Entity간 연관관계를 주입할 때, 한 번에 모든 데이터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지연하여 데이터를 로딩하는 방식)
* 지연 로딩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요청사항에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다.
// import 생략
// lombok 관련 annotation 생략
public class ChartDto {
private String chartNo;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
private LocalDateTime updatedAt;
public static ChartDto fromEntity(Chart chart){
return ChartDto.builder()
.chartNo(chart.getChartNo())
.createdAt(chart.getCreatedAt())
.updatedAt(chart.getUpdatedAt())
.build();
}
}
[3] Controller에서 @Valid로 요청 시 데이터 제약사항 검증하기
[ 예시 ] 동물 병원 차트 생성 컨트롤러 - REST 방식의 컨트롤러
POST http://ip주소:port번호/chart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ownerId": 1, "name": "여름이" }
// import 생략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ChartController{
private final ChartService chartService;
@PostMapping("/chart")
public CreateChart.Response createChart(@RequestBody @Valid CreateChart.Request request){
return CreateChart.Response.from(
chartService.createChart(
request.getOwnerId(),
request.getPatientId(),
)
);
}
}
2. 비즈니스 로직 검증하기 - Custom Exception
[1] exception : 예외사항에 대한 Custom Exception을 만든다.
(1) 먼저 Enum으로 예외 코드를 만든다. (2) 해당 Enum을 담은 커스텀 Exception을 만든다.
// import 생략
@Getter
@AllArgsConstructor
public Enum ErrorCode {
OWNER_NOT_FOUND("주인이 없습니다."),
PATIENT_NOT_FOUND("환자가 없습니다."),
CHART_NO_NOT_FOUND("차트번호를 찾을 수 없습니다.")
private String description;
}
// import 생략
// lombok 생략
public class Chart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
ErrorCode errorCode;
String errorMessage;
public ChartException(ErrorCode errorCode) {
this.errorCode = errorCode;
this.errorMessage = errorCode.getDescription();
}
}
[2] service : 비즈니스 로직에 따라 서비스 객체 생성하기
[ 예시 ] 동물 병원 차트 생성 서비스 - 비즈니스 로직 검증 - 주인이 있는지 조회하기 - 동물이 있는지 조회하기 - 동물의 차트가 100개를 넘어가는지 확인 (*validate를 위해 임의로 만든 것) - 최신 차트 번호 생성 - 차트 저장 후, 차트 정보를 넘긴다.
// import 생략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ChartService {
private final ChartRepository chartRepository;
private final OwnerRepository OwnerRepository;
private final PatientRepository Patient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ChartDto createChart(Long ownerId, Long patinetId){
Onwer owner = ownerRepositroy.findById(ownerId)
.orElseThrow(() -> new ChartException(ErrorCode.OWNER_NOT_FOUND));
Patient patient = patientRepository.findById(patientId)
.orElseThrow(() -> new ChartException(ErrorCode.PATIENT_NOT_FOUND));
// 차트 100개 넘는지 별도로 validate 처리
// -- [ctrl]+[alt]+[M]으로 메소드를 extract
validate(patient);
String chartNo = chartRepository.findFirstByOrderByIdDesc()
.map(chart -> (Integer.parseInt(chart.getChartNo().substring(2) + 1)) + "")
.orElseThrow(() -> new ChartException(ErrorCode.CHART_NO_NOT_FOUND));
return ChartDto.fromEntity(
chartRepository.save(
Chart.builder()
//생략
.build()
)
);
}
public void validate (Patient patient) {
if (chartRepository.CountByPatient(patient) == 100) {
throw new ChartException(ErrorCode.MAX_CHART_COUNT_100);
}
}
}
public static <T> T requireNonNull(T obj) {
if (obj == null)
throw new NullPointerException();
return obj;
}
| Optional 객체의 맴버 변수와 생성자
private static final Optional<?> EMPTY = new Optional<>();
private final T value;
private Optional() {
this.value = null;
}
| Optional 객체의 메소드
isPresent(): boolean
null인지 아닌지 여부를 boolean으로 반환
of()
데이터를 Optional<T>로 감싼다.
ofNullable()
of()와 동일하나 null이 발생할 때 처리 **null 발생 시 꼭 이 메소드 사용
get()
null이 아닌 경우, 해당값 반환 **null일 때 예외 발생시키므로, 사용 시 주의요함
orElse(<T>)
null일 경우, 특정 데이터를 반환
orElseGet(() -> getMethod())
null일 경우, 함수형 메소드 실행
orElseThrow(()->new Exception())
null일 경우, 지정한 예외 발생
filter()
조건식에 따라 필터링
map()
조건식에 따라 데이터를 매핑
flatMap()
map과 동일하나 null처리가 다름
(1) of()와 ofNullable()의 차이
- ofNullable()의 경우 null이 발생할 때 empty() 메소드를 사용하는데, empty() 메소드를 쓰면 Empty 맴버 변수를 반환한다.
private static final Optional<?> EMPTY = new Optional<>();
public static <T> Optional<T> of(T value) {
return new Optional<>(value);
}
public static <T> Optional<T> ofNullable(T value) {
return value == null ? empty() : of(value);
}
public static<T> Optional<T> empty() {
@SuppressWarnings("unchecked")
Optional<T> t = (Optional<T>) EMPTY;
return t;
}
(2) isPresent(), ifPresent()
public boolean isPresent() {
return value != null;
}
public void ifPresent(Consumer<? super T> consumer) {
if (value != null)
consumer.accept(value);
}
(3) get(), orElse(), orElseGet(), orElseThrow()
- get()은 사용을 지양하는 편이 좋다고 한다.* 감싼 데이터값이 null일 때, NoSuchElementException이 발생
public T get() {
if (value == null) {
throw new NoSuchElementException("No value present");
}
return value;
}
public T orElse(T other) {
return value != null ? value : other;
}
public T orElseGet(Supplier<? extends T> other) {
return value != null ? value : other.get();
}
public <X extends Throwable> T orElseThrow(Supplier<? extends X> exceptionSupplier) throws X {
if (value != null) {
return value;
} else {
throw exceptionSupplier.get();
}
}
- orElse()과 orElseGet()의 차이점은인자로 함수(ex. getRandomNumber())를 전달할 때
> orElse()의 경우 null이 발생하지 않아도 함수를 실행한 후 결과값을 orElse(//결과값//)에 전달하는 한 편,
> orElseGet()을 쓰면 Supplier라고 하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null이 발생할 때에만 함수를 실행한뒤 결과값을 전달한다.
// 가정: optionalUser.findById(userId)는 null X
// getRandomUser() 실행 --> 결과값이 orElse()안에 담김
optionalUser.findById(userId).orElse(getRandomUser());
// getRandomUser() 실행 X
optionalUser.findById(userId).orElseGet(() -> getRandomUser());
- orElseThrow()는 null 발생 시, 지정한 Exception을 반환하게 하는 메소드이다.
(4) filter(), map(), flatMap()
public Optional<T> filter(Predicate<? super T> predicate) {
Objects.requireNonNull(predicate);
if (!isPresent())
return this;
else
return predicate.test(value) ? this : empty();
}
public<U> Optional<U> map(Function<? super T, ? extends U> mapper) {
Objects.requireNonNull(mapper);
if (!isPresent())
return empty();
else {
return Optional.ofNullable(mapper.apply(value));
}
}
public<U> Optional<U> flatMap(Function<? super T, Optional<U>> mapper) {
Objects.requireNonNull(mapper);
if (!isPresent())
return empty();
else {
return Objects.requireNonNull(mapper.apply(value));
}
}
| 언제쓸까? - 값이 없을 수도 있을 때
(1) DB를 조회할 때
// JPA을 통해 Optional<T> 타입의 반환값이 null일 경우 처리하는 법
Optional<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userId)
.orElseThrow(() -> new Exception());
String userName = userRepository.findUserNameById(userId)
.map(user -> user.getUserName())
.orElse("이름 없음");
(2) 조회한 객체에 특정 칼럼이 비어있을 때
@Entity(name = "user")
public class User{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Id;
private String password;
private String thumbnail;
public Optional<String> getThumbnail(){
return Optional.ofNuallable(thumbnail);
}
}
메모리는 가상 메모리와 물리 메모리로 나뉘어져 있다. 가상 주소는 논리적인 주소일 뿐이지, 실제 저장되는 위치는 다를 수 있다. 객체를 그대로 저장하게 되면, 가상 주소까지 저장되게 되는데, 메모리 주소는 다른 시스템에 전달해도 의미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정보는 제외하고 타입 정보, 값 정보를 Byte형태로 만들어 보내는데 이를 직렬화라 한다. 직렬화를 하려면 클래스가 serializable를 구현해야한다.
- Optional.empty()를 빠뜨릴 확률이 높다. (휴먼 에러)
| Optional을 제대로 쓰기
(1) 비어있을 컬렉션을 표현할 땐 Collections.emptyList()를 사용한다.
Optional<List<User>> findAll(); //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Collections.emptyList(); // Collections의 emptyList()를 사용한다.
- 컬렉션 요소에 Optional은 절대 금지
// 사용자가 Optional을 매번 판단해야하는 상황발생
List<Optional<User>> findAll(); //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 ----사용시
for (Optional<User> opt : list) {
// 매번 optional을 객체로 변환
User user = opt.get(); // 불필요하다.
}
// User타입 그대로 반환
List<User> findAll();
(2) Optional을 파라미터로 넘기지 않는다.
(3) Optional 값을 가져올 때 .get()은 되도록 지양한다.
- get()을 쓰면, null일 때, NoSuchElementException을 발생시킨다.
- 앞에서 만들었던 동물병원 진료 예약 시스템에서, 동물을 Patient로 해서 만들어봤다.
간단한 내역만 적어두었는데, Entity에 관한 Annotation import를 보면 persistence가 패키지명으로 들어간 게 보인다.
- 다시 말해 @Entity 표시만 해두고, @Id나 @GeneratedValue로 pk를 설정하면 알아서 DB에 영구 반영시키겠단 말이다.
- 그리고 @EntityListener는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상황을 원하는 바에 따라 읽어오겠다는 이야기이다.
- 그런데 잠시 고민해야 하는 부분이 더 있다.
- @EntityListener를 저렇게 표시만 해둔다고 쓸 수는 없단다.
Listener는 말 그대로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귀기울여 대기하는 녀석이기에,
대기할 수 있게 미리 DI Container에 넣어주어야 한다.
| AuditingEntityConfig 클래스를 만들기
- 우리는 EntityListener중에서도 AuditingEntityListener를 쓰려고 한다.
- 그리고 앞서서 스프링은 처음에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DI container안에 의존성을 주입한다고 했으며,
- 리스너는 미리 이 container안에 넣어서 대기시켜주어야한다고 했다.
* DI container에 의존성을 주입하려면 @Configuration을 붙인 설정 클래스 안에서 @Bean을 불려오는 것으로 할 수 있는데
이 밖에도 @Component 등이 @Bean을 상속하여 붙이는 순간 시작 시 자동으로 의존성이 주입되기도 했다.
- 리스너를 대기시키기 위해 Config 클래스를 하나 만들고 @Configuration과 @EnableJpaAuditing을 붙인다.
@Configuration
@EnableJpaAuditing
public class JpaAuditingConfig {
}
| 정리
- JPA에서 말하는 영속성이란, DB에 영구적으로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 @Entity, @EntityListener, @Id, @GeneratedValue 에는 이러한 영속성의 의미가 패키지명에 담겨 있다.
- @EntityListener(AuditingEntityListener.class)는 Entity에 create/update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간을 알려준다. - Entity 내부의 맴버에 @CreatedDate와 @LastModifiedDate를 추가하고, - JpaAuditingConfig 클래스를 만든 후 @Configuration과 @EnableJpaAuditing을 추가하여 사용한다.
- 수업 시간에 고객의 계좌 정보에 관한 프로그램을 샘플로 만들며 아래의 내용을 배우기로 했다.
- 저작권상 내용을 여기에 담기는 좀 그래서 전반적인 개념에 추가적인 정보를 담아 스스로의 이해를 위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 강사님의 강의 흐름이 마치 현장 플젝을 해결하는 것 같이 느껴지는데, 이 흐름만 잘 기억해도, 차후 개인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no
흐름
특징
0
개요
시스템 한 줄 소개 / 활용 기술 요약 / 프로젝트 엔터티 구조 안내 / 주요 제공 기능(API) - 분류
1
프로젝트 생성 및 의존성 추가
spring.io 또는 인텔리J를 통해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의존성 추가 * 어떤 기술을 쓸 건지에 따라 의존성은 달라질 수 있다.
2
Lombok
Lombok을 통한 dto 생성
3
HTTP 프로토콜
HTTP 요청에 따라 Client의 요청사항 분석하고 응답하기
4
H2 DB
개발을 할 때 또는 테스트 시에 H2 DB를 통해 개발한다. * RDB와의 소통은 JPA를 사용하도록 한다.
5
트랜잭션
DB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작업단위. ACID
6
Embeded Redis
싱글 쓰레드 기반의 일종의 noSql이며 메모리DB를 사용한다. Spinlock으로 동시성을 제어하여 빠르게 휘발적으로 데이터를 사용할 때 Redis를 사용한다.
7
테스트
테스트를 왜 할까? TDD와 단위적 테스트의 차이점은?
1. 의존성 추가하기
- 인텔리j에서 보면, 프로젝트 바로 하위에 "build.gradle"이라는 파일이 있다.
-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는데, dependencies 안에 의존성을 추가할 수 있다.
인텔리j에서 플젝 시작할 때 Lombok이나 JDBC 같은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 자동으로 의존성이 추가되는데,
별도로 직접 작성해줄 수도 있다.
/* 플러그인의 의존성(library) 관리 */
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3'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3.RELEASE'
id 'java'
}
group = 'com.zerobase'
version = '0.0.1-SNAPSHOT'
sourceCompatibility = '1.8'
/* 각종 의존성들(libraries)을 어떤 원격 저장소에서 받을 것인지 지정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jcenter로 업로드 설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
/*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의존성들을 선언하는 곳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2. Lombok
- Lombok은 DTO(=VO) 객체의 Getter/Setter, 생성자를 자동으로 생성해주거나,
특정 클래스를 지정해서 로그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 다양한 기능
구분
표기
내용
게터/세터 외 다수
@Data
게터/세터/toString/Equals/HashCode 등 한번에 제공
** @Data의 경우, 사용자의 정보가 toString으로 그대로 노출되는 등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요청할 때에는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단위로 묶어 주는 과정을 거친다. * OSI 7 Layer : Application -> Presentation -> Session -> Transport -> Network -> Data Link -> Physical * TCI/IP : Application -> Transport -> Internet -> Network Interface WWW는 TCP/IP방식을 따르므로, 그를 기준으로 보면 HTTP는 Application 단계(최상위 단계)에 해당된다. - Application단계에서 Client는 URI로 요청사항을 날리고, 그 요청사항은 HTTP의 헤더와 바디에 담겨진 뒤, 나머지 하위 과정에서 포장된다. 포장된 데이터는 여러 네트워크망을 거쳐 Server로 넘어가게 된다.
- HTTP는 POST/GET/PUT(PATCH)/DELETE 라는 요청방식을 가진다.
- HTTP는 본래 Connectless, 한 번 연결하면 끝나는 일회성 연결 방식을 가졌으나, HTTP 1.1로 버전이 올라가면서 keep-alive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연결 상태를 유지하게 되었다. * TCP/IP 방식에 따르면, 매번 연결할 때마다 3-way-handshake가 필요하다. 1.1에서는 일정 기간 이걸 하지 않는다. 요즘에는 또 HTTP 2.0 버전이 나왔는데, 가장 큰 특징은 1.1은 한 번에 하나의 파일만 전송 가능했다면, 2.0은 이제 여러개 파일을 병렬처리로 전송하는 Multiplexing이 된다는 것. (그러나 헤더와 바디의 큰 구조는 위 그림처럼 비슷하다)
- 추가적으로, HTTP는 본래 Stateless,통신이 끝나면 상태를 유지하지 않았지만 쿠키와 세션으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정 정보(ex.로그인 정보)를 쿠키는 브라우저에, 세션은 서버의 id를 이용해 암호화해 서버에 저장 후 브라우저에도 저장한다. * 단, 연결 상태 유지 기간을 설정하면, 데이터는 브라우저가 아닌 로컬에 저장된다.
- 정리하면, 오늘날의 HTTP는 URI를 통해 요청을 받는 것은 동일하되, 일정 기간 동안 연결을 유지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 시 병렬 처리가 가능해졌으며, 쿠키와 세션을 통해 특정 상태(ex. 로그인 상태)를 브라우저(또는 로컬)에 저장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1) HTTP Request
POST /path HTTP/1.1 // Header 첫줄 : Method 경로 HTTP버전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받은 콘텐츠 타입
Accept: application/json // 보낼 콘텐츠 타입 (응답)
UserInfo: {"userId","test1234"} // 인증키나 회원명 등을 넣는다
{ // Body
"phone" : "010-1234-5678"
}
(2) HTTP Response
HTTP/1.1 200 OK // Header 첫줄 : HTTP버전 상태정보 메세지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content-type부터 연결(keep-alive)유지 기간 등
Transfer-Encoding: chuncked
Date: Mon, 21 Jun 2022 12:11:23 GMT
Keep-Alive: timeout=60
Connection: keep-alive
{ // Body : 응답 받는 Clinet에게 전달할 데이터
"message" : "등록 성공"
}
4. H2 DB를 사용하기
(1) H2 DB의 특징
: 메모리/파일 관계형 DB로, 가볍고 시작할 때마다 자동 삭제-생성 가능하며, 대다수의 DB sql명령어와 호환되어,
: 스프링 플젝을 처음 생성하면, [src] - [java] - [main] - [resources] 안에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이 있다.
: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가는 설정들을 정리해서 넣는 파일인데, 이 파일의 확장자를 .properties에서 .yml로 바꾼다.
rf. .yml파일은 야믈이라고도 하는 yaml 데이터 타입을 말한다. (+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더보기에)
: 아래의 내용을 보면, 스프링 설정을 야믈 데이터 타입으로 안내하는 것인데 크게 보면,
[ DB에 대한 설정(위치와 JDBC정보) + H2 콘솔 사용 여부 + JPA 관련 설정(INSERT시작 지점, DB정보, 쿼리 관련 설정) ]
이렇게 세가지를 아래에서 하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spring: // spring 플젝의 설정할거다!
datasource: // (1) DB의 소스 :
url: jdbc:h2:mem:test // 5가지 정보(url-ip와port와instance),계정,비번)
username: // -- ip와 port대신 mem (memory를 의미)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 JDBC 드라이버 정보
h2: // (2) h2 console 사용 여부
console:
enabled: true
jpa: // (3) jpa 관련 설정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true // table 생성 후로 resource의 data.sql 입력 미룬다(defer)
database-platform: H2 // db vendor
hibernate: // hibernate (jpa 인터페이스 구현체)
ddl-auto: create-drop // ddl-auto : 자동으로 실행시 drop, create
open-in-view: false // open-view (뷰에서 볼 것인지)
properties: // properties (설정)
hibernate: // hibernate - sql 형식으로 쓰고 볼지
format_sql: true
show_sql: true
[ JPA란 ? ]
- 출처 : https://dbjh.tistory.com/77?category=853400 - JPA란,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로, 말 그대로 RDB와 소통할 때도 자바를 지속적으로 쓰게 해주는 API이다. - 조금 어려운 말로는, 자바에서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 표준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모음이라고 하는데, - 결국 ORM도 객체와 RDB를 연결(매핑)해주는 걸 의미한다. - JPA는 JPA라는 인터페이스가 있고, 그를 hibernate, OpenJPA등이 구현한다.
- 장점 : - SQL문이 아닌 자바언어로 DB를 조작하기 때문에, 비즈니스 로직에 맞춰 개발하기 편리하며 가독성이 높다. - 객체 지향적인 코딩이 가능해 진다. (상속 또한 RDB로 자동 표현할 수 있게 했다.) - DB vendor를 변경해도 코드를 수정하지 않아도 되어 vendor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리팩토링에 유리하다.
- 단점 : - 프로젝트 규모가 크고 복잡한 상태일 때, 설계가 잘못 될 경우, 속도 저하 및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 복잡하고 무거운 쿼리문의 경우 속도를 위해 별도로 SQL문을 써야할 수 있다. - JPA를 배우는 비용이 비싸다.
- 설정을 다 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이클립스나 인텔리j에서 실행하면, 에디터 콘솔에 Tomcat을 통해 알아서 잘 생성됐다는 메세지가 뜬다.
- 이제, 브라우저에서 아래의 정보를 입력하면 H2 DB 콘솔을 볼 수 있다.
http://localhost:8080/h2-console
- 설정 야믈에 써놓은 URL과 계정명, password를 잘 써주고 연결하면 된다. (JDBC URL이, url이다)
* 처음에 JDBC URL은 jdbc:h2:~/test;로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을 아까 야믈 설정파일에서 설정해두지 않았다면,
매번 실행할 때마다 주소가 자동 할당되어 에디터 콘솔에 뜨고, 그걸 복사해서 위에 붙여주어야만 한다.
: 레이어 패턴에서는 dto를 domain안에 만들었는데, @Entity를 통해 이 클래스가 테이블임을 표현한다.
: 이렇게 생성한 후에 다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H2 console 부분에 테이블이 생성된 게 보인다.
// import 생략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Builder // 여기까지 Lombok을 사용해 builder, 게터/세터를 만들게 한다.
@Entity // Entity를 쓰면 이 클래스를 Entity로 설정하겠다는 의미이다.
public class TableName{
@Id // pk인덱스 생성
@GeneratedValue // pk가 Sequence인지, Table인지 등과 세부 제한 설정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certainMember1;
private String certainMember2;
}
(3-2) 리포지토리 만들기
- JPA를 통해 DB와 직접적인 소통을 하는 것은 repository interface이다.
- 중요한 건, 이것은 인터페이스이며 클래스로 만들면 안 된다는 것이다.
* 왜 인터페이스로 되어 있을까? 그건 DIP 법칙에 따라 JPA에 너무 의존하지 않게 하려는 것 아닐까? (좀더 생각해보자..)
- JpaRepository<테이블객체명,pk타입>를 구현한 인터페이스를 만든다.
@Repository
public interface Certian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TableName, Long> {
}
- JpaRepository의 메소드들은 굉장히 많았는데 그 중에 기본적인 메소드들은 아래와 같았다.
save(S entity) : S saveAll(Iterable<S> entities) : Iterable saveAll
- 바로 위의 표의 메소드들 (save, findById, delete, count 등)을 호출하는 클래스를 만든다.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CertainService {
private final CertainRepository certain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void createOneRow() {
TableName tableName = TableName.builder()
.memberfield("hahaha")
.build();
certainRepository.save(tableName);
}
@Transactional
public TableName getOneRow(Long id) {
return certainRepository.findById(id).get();
}
}
(3-4) 컨트롤러로 URI에 대한 HTTP 처리하기
- 앞서서 Client는 브라우저의 URI를 통해 요청을 보낸다고 했다.
- 이제 어느 경로에서 어떻게 URI를 보내면, 특정 서비스의 메소드를 호출할지를 여기서 정해주면 된다.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CertainController {
private final CertainService certainService;
@GetMapping("/create-certain")
public String createCertain() {
certainService.createOneRow();
return "success";
}
@GetMapping("/certain/{id}")
public Account getAccount(@PathVariable Long id) {
return certainService.getOneRow(id);
}
}
5. 트랜잭션
트랜잭션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단위
[출처] 코딩팩토리, https://wonit.tistory.com/462
- 트랜잭션은 DB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CRUD(INSERT, SELECT, UPDATE, DELETE) 행위를 말한다.
(1) Commit과 Rollback
- 트랜잭션은 순차적으로Commit -저장-을 하며 실패해도 로그를 남겨, 앞의 트랜잭션이 다 끝나야 실제로 반영한다.
- 만약에, 트랜잭션이 비정상적으로 종료한다면 Rollback -철회-을 통해, 트랜잭션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결과를 취소한다.
(2) 트랜잭션의 상태
- 트랜잭션은 실행중(Active)이거나
- 커밋 일부 완료(Partially Commited), 커밋 모두 완료(Commited)
- Redis 또한 in-memory 방식의 noSql이기 때문에 다른 DB들과 마찬가지로 host와 port가 필요하다.
- 앞에서 만들어주었던 application. 야믈파일에서 아래와 같이 호스트와 계정을 넣어준다.
* 보통 Redis는 6379 포트를 쓴다고 한다.
spring:
redis:
host: 127.0.0.1
port: 6379
(2) LocalRedis 실행 설정하기
- Config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 포트정보를 통해 RedisServer를 만들어준다.
- RedisServer는 @PostConstruct와 @PreDestroy를 할 수 있는 메소드를 생성해주는데,
Bean의 생성주기에서 빈 생성 및 의존관계 주입 후 @PostConstruct가 이루어지고, 종료 전에 @PreDestroy가 이루어진다.
[ Bean의 생성주기 ]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EVENT) → 앱 본연의 동작 수행 → 소멸전 콜백(EVENT) → 스프링 종료
@Configuration
public class LocalRedisConfig {
@Value("${spring.redis.port}")
private int redisPort;
private RedisServer redisServer;
@PostConstruct
public void startRedis() {
redisServer = new RedisServer(redisPort);
redisServer.start();
}
@PreDestroy
public void stopRedis() {
if (redisServer != null) {
redisServer.stop();
}
}
}
(3) LocalRepository 등록
- Config 클래스를 하나 만든 후에, 호스트와 포트 맴버 필드를 만들고, RedisClient를 호출하는 메소드를 만든다.
- 이 설정 자체도 너무 어려웠다.. 암기가 필요한 순간.
@Configuration
public class RedisRepositoryConfig {
@Value("${spring.redis.host}") // EL같다. application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private String redisHost;
@Value("${spring.redis.port}") // EL같다. application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public int redisPort;
@Bean
public RedissonClient redissonClient() { // RedissonClient을 반환해주어야한다.
Config config = new Config(); // Config 객체 생성
config.useSingleServer().setAddress("redis://" + redisHost + ":" + redisPort);
return Redisson.create(config);
}
}
7. 테스트
- 과거의 경우 어떤 서비스가 만들어지면 그것을 하나하나 검수하는 과정을 거쳤었다.
- 현재에는 자동화된 테스트 코드를 통해 빠르게 테스트를 하고 있다.
- 다양한 테스트 커버리지와 테스트 방법론이 존재한다.
과거의 테스트
현재의 테스트
방법
기능적으로 하나하나 일일히 검수
자동화된 테스트 코드
특징
다수의 인력, 시간이 너무 많이 든다
빠른 속도로 테스트 가능, 코드 수정 후 재검수 용이
[ 테스트에 관한 개념 ]
(1) 테스트 커버리지 : 단위 테스트 / 전 구간 테스트 / 통합 테스트
단위 테스트(Unit Test)
전 구간 테스트(End-to-End Test)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
크기
클래스 또는 메소드
현재부터 ~ 배포까지
연관된 모든 기능 전반(외부lib까지)
장점
- 개발자 관점의 빠른 테스트 - TDD와 함께 할 때 강력하다.
- 내부 기능까지 테스트하지 않는다 - 사용자 관점에서 E2E(End to End) 형식을 이용해 확인
- 개발자가 변경불가한 부분 확인 - 단위 테스트에서 발견이 어려운 버그까지 커버
단점
- 단위를 벗어난 영역의 버그를 확인하기 어려움
- 테스트를 만들기가 힘들다 - 많은 코드를 테스트해 신뢰성 ↓
- 많은 코드를 테스트해 신뢰성 ↓ - 에러 발생 지점을 찾기 어렵다 - 유지보수가 힘들다
(2) TDD란 뭘까? Test-Driven-Development의 약자로,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는 테스트 방법론을 의미한다.
: 간단히 요약하자면, 개발 전에 테스트 코드부터 작성하고 개발 후 리팩토링(수정)하는 방법이다.
(3) 테스트는 왜 해야할까? 비즈니스 로직에 맞고, 빠르고 안정적인 개발을 하기 위함
1) 테스트를 하면서 스스로 자신의 코드를 리뷰할 수 있다.
2) 테스트가 잘 되어있으면 리팩토링 하기가 수월하다. - 개발을 하다보면, 기존에 만들어진 코드가 정책에 맞춘 코드인지, 아니면 임의로 만들어진 코드인지 구분을 해야한다. - 테스트 코드를 보면 기획에서 다 알지 못하는 영역까지도 코드 내역을 통해 커버할 수 있다.
(4) 테스트를 잘 하기 위해서는 뭘 해야할까?
1) 클래스나 메서드가 SRP를 지키며 너무 크지 X
2) 단위 테스트 시, 적절한 Mocking으로 격리성 확보 -- Mocking이란, 카피를 의미
3) 테스트 커버리지를 높혀, 놓치는 구간이 없도록 한다.
4) 테스트 코드 또한 속도 및 방법 등의 면에서 지속적으로 개선해준다.
[ 테스트를 위한 라이브러리 - JUnit, Mockito ]
JUnit5
- xUnit이라는 단위 테스트(Unit Test) 프레임워크
- 단위 테스트를 실행 후 전체 결과를 리포트
- 스프링 2.4버전대부터 spring-boot-starter-test에 JUnit5가 포함되어 있다. * 최근 버전에서 JUnit4를 선택하면 테스트 동작안한다. (잦은 테스트 에러)
Mockito
- Mock(가짜)을 만들어 주는 라이브러리
- 왜 필요한가? : 특정 controller나 service에 연관된 클래스들은 main에 작성되어 있다. : 만약 test를 위해 main과 test를 둘 다 돌리면 port를 두 개의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것으로 에러가 난다. : 그렇기에 main에 있는 의존하는 클래스를 test 파일 안에 일일히 생성해주어야 하는데 : 이러한 방식은 품이 너무 많이 든다. --> Mock을 만들어, 의존 클래스를 inject 한다.
[ JUnit5와 Mockito를 통한 단위 테스트 실습 ]
(1) JUnit5를 사용해보기
(1-1) build.gradle의 dependencies에 "spring-boot-starter-test"가 있는지 확인 (디폴트로 되어있다)
- 위에 보면 tasks.named('test')가 있는데, 'test'로 된 디렉토리의 테스트들을 JUnit으로 돌리겠다는 의미이다.
(1-2) 테스트하고자 하는 클래스에서 Ctrl+shirt+T로 테스트를 생성한다
- 보면 아래처럼 JUnit5로 라이브러리가 설정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이걸 4로 바꾸면 당연히 테스트는 안 된다.
(1-3) @SpringBootTest와 @Autowired를 통해 의존을 주입한다.
// import 생략
@SpringBootTest // 실제 환경과 동일하게 모든 Bean들을 등록
class CertainTest{
@AutoWired // 주입
CertainService certainService;
@BeforeEach // 아래의 두 메소드 각각 시작 전에 행 하나 생성
void init() { certainService.createOneRow(); }
@Test
@DisplayName("Test Name blah blah")
void testGetOneRow(){
TableName tableName = certainService.getOneRow(1L);
assertEquals("010-1234-5678", tableName.getPhone());
assertEqauls(TableName.CertainType, tableName.getType());
}
@Test
@DisplayName("Test Name blah blah2")
void testGetOneRow2(){
TableName tableName = certainService.getOneRow(2L);
assertEquals("010-1234-5678", tableName.getPhone());
assertEqauls(TableName.CertainType, tableName.getType());
}
}
- 그런데 위와 같이 하면 @SpringBootTest로 안 쓰는 클래스까지 가져오면 원하던 테스트에서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 더불어 매번 @AutoWired로 주입을 하게되면 너무 품이 많이 든다.
- 이를 해소하고자 Mockito의 Mock을 사용한다.
(2) Mockito의 Mock을 사용해서 service에서 필요한 클래스만 가짜로 주입하기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 MockitoExtension이라는 클래스를 쓴다.
class CertainServiceTest {
@Mock // 가짜 생성
private CertainRepository certainRepository;
@InjectMocks // 위에서 만든 Mock을 주입
private CertainService certainService;
@Test
@DisplayName("성공")
void testXXX() {
// given
given(certainRepository.findById(anyLong()))
.willReturn(Optional.of(TableName.builder()
.type(TableNameType.TYPE)
.phone("010-1234-5678").build()));
// when
TableName tableName = certainService.getOneRow(1234L);
// then
assertEquals("010-1234-5678", certainService.getPhone());
assertEquals(TableNameType.TYPE, certainService.TableNameType());
}
}
[ Controller 테스트 하기 ]
방법1
방법2
@SpringBootTest + @AutoConfigMockMvc
: 전체 Bean 생성 후
: mockMvc로 HTTP요청 및 검증
@WebMvcTest
: 필요로하는 MVC관련 Bean만 생성 - Controller, ControllerAdvice, Converter, Filter 등
: 하위 레이어 기능*의 경우, @MockBean으로 mocking - *Controller에 의존하는 Service 및 기타
: 마찬가지로 mockMVC로 HTTP 요청 및 검증
@WebMvcTest(AccountController.class)
class AccountControllerTest {
@MockBean
private AccountService accountService;
@MockBean
private RedisTestService redisTestService;
@Autowired
private MockMvc mockMvc;
@Test
void successGetAccount() throws Exception{
// given
given(accountService.getAccount(anyLong()))
.willReturn(Account.builder()
.accountNumber("3456")
.accountStatus(AccountStatus.IN_USE)
.build());
// when
// then
mockMvc.perform(get("/account/876"))
.andDo(print())
.andExpect(jsonPath("$.accountNumber").value("3456"))
.andExpect(jsonPath("$.accountStatus").value("IN_USE"))
.andExpect(status().isOk());
}
}
package com.example.websample.dto;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Data;
@AllArgsConstructor
@Data
public class ErrorResponse {
private String errorCode;
private String message;
}
- 위에서 작성했던 예외처리 코드를 변경하여 객체로 묶는다.
@ResponseStatus(HttpStatus.FORBIDDEN)
@ExceptionHandler(IllegalAccessException.class)
public ErrorResponse handleIllegalAccessException(
IllegalAccessException e){
log.error("IllegalAccessException is occured.", e);
return new ErrorResponse("INVALID_ACCESS",
"IllegalAccessException is occured.");
}
- 내부적으로 아래와 같은 메소드들이 있는데 이들 모두 InterceptorResgistration을 반환하므로 메소드 체이닝을 한다.
- 메소드들
addInterceptor()
인터셉터 추가
order()
순번
addPathPatterns()
어떤 url패턴(경로)에서 실행할 건지
excludePathPatterns()
일반적으로 css나 images와 같이 정적 페이지들을 대상으로 제외처리
package com.example.websample.config;
// import 생략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Filter 내용 생략
// Interceptor 내용
@Override
public void addInterceptors(InterceptorRegistry registry){
// registry : 등록 내용 관리부
registry.addInterceptor(new LogInterceptor())
.order(1)
.addPathPatterns("/**")
.excludePathPatterns("/css/*", "/images/*");
}
}
>> 기존의 컨트롤러에 예외 사항을 임의로 추가
@GetMapping("/order/{orderId}")
public String getOrder(
@PathVariable("orderId") String orderId,
@RequestParam("orderAmount") Integer orderAmount) throws IllegalAccessException {
log.info("Get some order");
if ("500".equals(orderId)) {
throw new IllegalAccessException("500 is not valid orderId");
}
return "OrderId : " + orderId + ", orderAmount : " + orderAmount;
}
>> 요청
http://localhost:8080/order/500?orderAmount=1000
>> 로그
// 필터 진입
Hello LogFilter : Thread[http-nio-8080-exec-1,5,main]
// preInterceptor
preHandle LogInterceptor: Thread[http-nio-8080-exec-1,5,main]
preHandle handler: com.example.websample.controller.SampleController#getOrder(String, Integer)
// handler
Get some order
// ! postInterceptor로 가지 않았다.
// afterInterceptor
afterHandle LogInterceptor: Thread[http-nio-8080-exec-1,5,main]
afterCompletion exception : 500 is not valid orderId
// exception 메세지 - 오류 코드 나머지는 생략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Request processing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va.lang.IllegalAccessException: 500 is not valid orderId] with root cause
java.lang.IllegalAccessException: 500 is not valid orderId
// 브라우저에 페이지 로딩하며 다시 실행
preHandle LogInterceptor: Thread[http-nio-8080-exec-1,5,main]
preHandle handler: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web.servlet.error.BasicErrorController#errorHtml(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postHandle LogInterceptor: Thread[http-nio-8080-exec-1,5,main]
afterHandle LogInterceptor: Thread[http-nio-8080-exec-1,5,main]
| 정리
- 필터, 인터셉터, AOP는 모두 공통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 주로 필터, 인터셉터는 웹에 관한 처리(ex.URL주소 및 프로토콜)를 하며, AOP는 자바 코드에 관해 처리한다.
- 필터는 Filt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doFilter()안에서 chain.doFilter(request, response)를 작성하여 만들 수 있다.
- 인터셉터는 HandlerIntercep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preHandle()/postHandle()/afterCompletion()을 작성하여 만들 수 있다.
- 필터와 인터셉터 모두 @Configuration 클래스에서 @Bean으로 등록해주는 것이 필요한데,
- 필터의 경우, FilterRegistrationBean 클래스를 만들고 setFilter()/setOrder()/addUrlPatterns()를 설정한다.
- 인터셉터의 경우, WebMvcConfigurer를 구현한 후, addInterceptor()를 통해 이미 등록된 registry의 메소드들을 사용한다.
[1] Dispatcher Servlet이 요청 URL을 받아 HandlerMapping에 전달 * Dispatch : 파견 보내다. rf. 도서관의 사서(dispatcher)는 도서를 요청(request)받았고, 도서 코드 목록(HalderMapping)서 도서를 어떻게 찾을지 본다.
[2] HandlerMapping는 요청 URL에 맞는 Controller와 Method 정보를 반환 rf. 도서의 코드 목록에 따르면 해당 도서는 '역사' 카테고리 구역에 있단다.
[3] Dispatcher Servlet이 Handler Adapter에게 요청 처리를 위임 rf. 사서는 인턴에게 '역사' 카테고리 책장으로 이동해서, 가나다순으로 진열된 책들을 보면 된다고 알려준다.
[4] HandlerAdapter가 Controller와 Method를 실행 rf. 인턴이 찾으려는 도서의 코드와, 사서의 안내를 가지고 '역사' 구역에 가서 도서를 찾는다.
[5] Cotroller는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뷰(ex.JSP)에 전달할 객체를 Model 객체에 저장 rf. 인턴은 찾은 도서를 가져와 책수레에 담는다.
[7] Dispatcher Servlet은 View 객체에 화면 표시를 의뢰 rf. 사서는 책을 요청한 사람에게 책을 전달하기 위해 "00책 요청하신분~?"하고 물어본다.
[8] View 객체는 해당하는 뷰(ex.JSP.Thymeleaf)를 호출하며, 뷰는 Model 객체에서 화면 표시에 필요한 객체를 가져와 화면 표시를 처리 rf. 사서는 책을 요청한 사람에게 책을 대여해주고, 반납일에 대해 안내한다.
| HTTP 요청 - RestController
- HTTP 요청 및 응답은 Rest 방식에 따른다.
구분
의미
SQL
REST API
CREATE
삽입
INSERT
PUT/POST
READ
조회
SELECT
GET
UPDATE
갱신
UPDATE
PUT/PATCH
DELETE
삭제
DELETE
DELETE
- 데이터 타입은 일반적으로 JSON 타입을 많이 사용한다. (XML보다 경량)
- Controller와 RestController의 차이
Controller
기본적으로 HTML으로 응답값 전달
RestController
Rest API 요청에 따른 응답값(ex.JSON) 전달
- 웹을 통해서 받는 URI의 경우 아래와 같이 [URL + 전달하려는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URI 예시
https://why-dev.tistory.com/252?category=964854
- RestController를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RestController를 작성해주어야 한다.
@RestController
public class SampleController{
}
+ 여기에 만약에 롬복을 추가할 경우,
@Slf4j
@RestController
public class SampleController{
}
| HTTP요청 매핑
[1] Mapping Annotation
- 요청방식을 직접 지정 (GET,POST...)
// GET, POST 등의 요청방식을 직접 지정
@RequestMapping(value = "/page/252",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getPage(){
log.info("Get some page information");
return "page:252"; // JSON 방식
}
- HTTP Mapping을 할 때에는 @GetMapping, @PostMapping, @DeleteMapping.. 등의 축약형 매핑 Annotation을 쓴다. * 이때, Put은 전체를 수정할 때, Patch는 일부를 수정할 때에 사용한다.
- HTTP 요청 파라미터를 전송할 때, (1) Get과 Delete의 경우 - @PathVariable로 고유한 id를 받고, @RequestParam으로 parameter를 받는다. (2) Post, Put, Patch의 경우 - @RequestHeader와 @RequestBody를 통해 parameter를 받을 수 있다. * RequestBody를 쓸 경우, 큰 데이터를 쉽게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