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에 접속하는 방법

https://honglab.tistory.com/179

 

[AWS] AWS EC2에 접속하는 방법 5가지 (SSH, RDP)

팀블로그에 작성한 글입니다 1. 제일 추천 - mobaXterm (SSH, RDP, SFTP 등 한꺼번에 사용 가능) https://err-bzz.oopy.io/223a9c02-7ac2-498c-afde-01db6cf873ae [강추] mobaXterm으로 Linux, Windows Server 접속 mobaXterm이란? err-bzz.

honglab.tistory.com

 

|  개요

- 지난 시간에 한 작업
1. EC2 프리티어 계정 만들기
2. Yum 설치하기 
3. JDK 설치하기

- 이번 시간에 한 작업 
1. EC2에 도커와 레디스 설치하기
2. EC2 인바운드 규칙 설정하기

 

|  절차

1. EC2 도커와 레디스 설치하기

- 이 부분은 별도의 포스팅에 작성해두었는데, 아래에 적어두었다.

https://why-dev.tistory.com/378

 

[Docker/Redis] Ubuntu에 Redis 설치 & Docker로 Redis 실행

| Redis 설치하기 1. Ubuntu에 Redis 설치 sudo apt-get install redis-server 2. 설치 확인 redis-server --version 3. redis가 6379 포트를 쓰는지 확인 // netstat 없으면 net-tools 설치 sudo apt install net-tools // 6379 포트 쓰는지

why-dev.tistory.com

 

2. EC2 인바운드 규칙 설정하기

- 팀원 분께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에 대해 배웠다.

- 인바운드 : 들어오는 포트을 열어두는 것

- 아웃바운드 : 나가는 포트를 열어두는 것

 

(1) EC2 인스턴스로 가기 

- 보안그룹을 어떤걸 사용하는지를 먼저 확인한다.

 

(2)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그룹 

- (1)에서 확인한 보안그룹을 체크하고, [인바운드 규칙 편집]을 선택한다.

- 인바운드 규칙 편집 화면에서 0.0.0.0 모든 IP에서 레디스 6379 포트로 접속이 가능하게 하고 규칙을 저장한다.

 

(3) 텔넷을 통해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 텔넷을 쓰려면 먼저 텔넷을 깔아주어야한다.

- 나는 윈도우를 사용하는데, 윈도우의 경우 텔넷은 아래와 같이 설치할 수 있었다.

https://jsson.tistory.com/44

 

Windows 10 Telnet(텔넷) 서비스 설치, 사용 방법

네트워크 장비 또는 기타 장비들의 관리를 위해 텔넷(Telnet)을 사용할 때가 있는데요, Windows 10에는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기본 패키지 내에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

jsson.tistory.com

* ping : 주소에 대한 접근이 가능한지 확인

* telnet : 특정 ip의 포트로 접근이 가능한지 확인

- cmd를 열어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EC2의 해당 위치로 접속이 가능해진다.

telnet {ip 주소} {port 번호}

ex.
telnet 12.123.145.21 6379

 

(4) 내 로컬 PC에서 작성중이던 프로젝트를 열고 application.properties의 redis 주소를 수정하고 테스트를 해본다.

spring.redis.host={EC2 탄력적 ip주소}
spring.redis.port=6379

'Infra > AWS,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EC2에 접속하는 방법 (스크랩)  (0) 2022.12.28
[AWS] EC2 Ubuntu 서버에 JDK 설치하기  (0) 2022.12.05

|  개요

- 이번 시간에 한 작업 : 
1. EC2 프리티어 계정 만들기
2. Yum 설치하기 
3. JDK 설치하기

 

1. EC2 프리티어 계정 만들기

- 이 부분은 이전에 우분투로 프리티어 계정을 만들어둔게 있어서 그걸 활용했습니다.

- 프리티어의 경우 하나의 인스턴스를 실행 시켜둘 수 있는데, 하나를 만들어두었고, 탄력적 IP를 설정해두었어요.

 

 

2. EC2 ubuntu에 Yum 설치하기

- 저는 AWS EC2로 우분투 운영체제를 사용합니다.

- 리눅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패캐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RPM 또는 YUM을 사용해야 합니다.

https://velog.io/@jwpark06/Linux-%ED%8C%A8%ED%82%A4%EC%A7%80-%EC%84%A4%EC%B9%98-%EB%B0%A9%EB%B2%95-RPM-YUM

 

Linux의 패키지 설치 방법 RPM & YUM이란?

AWS EC2에 설치하기에 관련된 포스팅을 진행하다보니 yum, rpm, yum.repos.d, GPG-KEY 등의 용어들이 사용되는데, 명확히 모르고 쓰고 있었던 것 같아서 한번 정리해볼까 합니다.RPM과 YUM둘 모두 Linux 환경

velog.io

- 따라서 먼저,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Yum을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yum

 

3. 우분투에서 터미널로 JDK 설치하기

- 이제 리눅스에서 아래의 명령어들을 통해 JDK 11 버전을 설치하고,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openjdk-11-jdk

// 버전확인
ubuntu@ip-172-31-41-208:~$ java -version
openjdk version "11.0.17" 2022-10-18
OpenJDK Runtime Environment (build 11.0.17+8-post-Ubuntu-1ubuntu222.04)
OpenJDK 64-Bit Server VM (build 11.0.17+8-post-Ubuntu-1ubuntu222.04, mixed mode, sharing)

ubuntu@ip-172-31-41-208:~$ javac --version
javac 11.0.17

 

 

[ 참고 및 출처 ]

https://pinggoopark.tistory.com/14

https://develop-writing.tistory.com/121

https://davelogs.tistory.com/7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