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4 

-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음 *다른 계층에서 데이터잘못된 것을 고정

 

ICMP

- 인터넷 제어 메세지 프로토콜

- 네트워크 컴퓨터 위에서 돌아가는 운영체제에서 오류 메세지를 전송 받는데 주로 쓰인다.

* 상대방과 통신이 되는지 아닌지 확인

* Type  3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 상대 목적지까지 못간 경우

  Type 11 오류 : Time exceded, 상대방 노드에서 데이터를 받지 못한 경우(ex. 방화벽 문제)

 

라우팅 테이블

- 라우팅 == 지도

-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설정되어 있는 라우팅 테이블

 

라우팅 전송 과정

- 내컴퓨터 -> 공유기로,

  (1) 라우팅 테이블 통해, 공유기로의 IP대역대 확인

  (2) [eth | IPv4 | ICMP 요청]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

  (3) 이더넷의 MAC주소 변경 

- 공유기 -> 다른 컴퓨터가 있는 공유기

- 다른 컴퓨터의 공유기 -> 다른 컴퓨터

 

조각화

- 데이터의 최대전송단위(MTU, Maximum Transmission Unit)는 일반적으로 최대 1500 byte로 되어 있다.

- 내가 전달하려는 데이터가 MTU보다 크면 조각화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 IPv4

  MF:More Fragment, 내 다음에 데이터가 더 있으면1 아니면 0,  Offset : 위치

- 실제 페이로드 

  Data

* 조각화를 할 때에는 MTU에서 IPv4프로토콜만큼을 제외하여 데이터를 조각낸다.

  (ex. 아래의 경우 MTU가 3300byte이며, IPv4가 20byte가 필요하므로 데이터를 3280bytes씩 조각화한다)

* 조각화된 각 데이터에는 ID값이 있어 어느 고유 데이터에서 파생된 조각인지 확인할 수 있다.

* 각각의 조각화된 데이터들을 offset으로 위치 지정한다. (배열의 index처럼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냄) / 8

 

 

 

[출처] 따라하면서 배우는 IT, 네트워크 기초

https://www.youtube.com/watch?v=_AONcID7Sc8&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index=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