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utoWired 동작원리
https://beststar-1.tistory.com/40
@Autowired의 동작원리
@Autowired란? 의존관계 주입(DI)을 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Annotation)이며, 의존 객체의 타입에 해당하는 빈(Bean)을 찾아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 의존관계 주입에 대해서는 IoC(Inversion of Control,
beststar-1.tistory.com
2. 생성자 주입과 관련한 설명
https://jackjeong.tistory.com/41
[Spring] 생성자 주입 vs 필드 주입 (@Autowired)
안녕하세요~ 잭코딩입니다! 이번에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어떤 방식으로 주입하는 게 좋은지 살펴볼까요? 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생성자 주입 (Constructo
jackjeong.tistory.com
'Framework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Cloud & MSA] MSA와 Spring Cloud (1) | 2024.01.09 |
---|---|
[스프링] Build.Gradle & application.yml 관련 메모 (0) | 2022.10.28 |
[HTTP] @RequestParam vs @RequestBody (0) | 2022.10.19 |
[HTTP] User IP와 Agent(Device) 정보 가져오기 (0) | 2022.10.15 |
[Validation] 데이터 검증, 비즈니스 로직 검증 (1)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