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오늘은 이클립스와 인텔리j에서 Maven 프로젝트를 만들어 본 뒤,
- 인텔리j의 GUI를 통해 Maven의 clean과 packing을 동작시키는 걸 해보았다.
- Maven 프로젝트 생성은 처음 해보는 거라 구조를 잘 기억하기 위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1. 인텔리j 우측의 [Maven] 탭 기능
내용 | 기능들 | |
Lifecycle | 더블 클릭으로 플러그인 실행 | package : target 생성 clean : target 해제 * 내보낼 패키지들에 대한 target를 정하는 것 * 여기선 프로젝트 생성시 WAR 파일로 설정해서 war로 나감 |
Plugins | 내장 플러그인에 대한 세부 기능 위계 | - |
Dependencies | 의존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곳 | - |
2. 메이븐 프로젝트의 구조
Maven | Gradle | |
빌드 | application 최상단에 위치 | |
pom.yml | build.gradle | |
최초 클래스 | java 내의 com.example.project) 패키지 내부에 존재 | |
FastlmsApplication ServeletInitializer |
FastlmsApplication | |
설정 | [src] - [resource]에 위치 | |
application.properties --> application.yml로 변경해서 사용 |
[ 출처 ]
부트캠프 강의를 들은 후 정리한 내용
'Framework > 프로젝트로 스프링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MS 만들기] 비밀번호 초기화 요청 및 메일 링크를 통한 초기화 (1) | 2022.10.04 |
---|---|
[LMS 만들기] 스프링 시큐러티를 이용한 로그인/로그아웃 (0) | 2022.10.03 |
[LMS 만들기] 회원가입 페이지 만들기 (0) | 2022.10.02 |
[LMS 만들기] 스프링 컨트롤과 주소 매핑 (0) | 2022.09.30 |
[LSM 만들기]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하기 (0) | 2022.09.28 |